임신부 산전검사 받으려고 했으나, 코로나 때문에 받지 못 하신 분들 많으시죠? 이제 코로나19로 중단했던 임신부 무료 산전검사가 재개된다고 합니다.
그에따라 어디에서 산전검사를 받을 수 있는지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부 산전검사
임신부 산전검사란 임신 주차별 받아야 하는 검사 리스트로, 시점에 따라 실시하는 검사로 조기에 질환들을 발견하여 적절히 치료해줄 수 있는 검사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임신부들에게 무료로 제공되던 산전검사가 중단되었으나, 서울시 중랑구를 포함한 청주시도 산전검사를 재개한다고 합니다.
임신 주차별로 필요한 검사 리스트는 아래 표와 같으니 주차별로 확인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첫 내원 시 | 혈액형 검사 | 혈액형 Rh인자 및 불규칙 항체를 검사하여 용혈현상 등으로 인한 유산, 조산, 사산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검사입니다. |
일반 혈액 검사 | 빈혈 및 혈소판 감소증 등을 검사하여 임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빈혈 수치, 혈소판 수치를 꼭 기억하세요. | |
매독 혈청 검사 | 매독은 태아 사망 및 선천성 매독을 일으킵니다. | |
B형 및 C형 간염 검사, 간기능 검사 | 임신부의 간염 보균 상태는 신생아 간염 관리에 필요하고, 간염항체 검사도 여성의 일생 건강관리에 기본 검사입니다. 이때 간기능 검사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
풍진 항체 검사 | 풍진은 태아 감염을 일으켜 백내장, 선천성 심장병 등 여러 기형을 유발합니다. | |
에이즈 검사 | 선천성 에이즈를 예방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
소변 검사 | 임신중독증 및 당뇨병, 요도염, 신우신염, 신장병 등을 진단하여 임신부 위험 및 유산, 조산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소변 배양 검사 | 방광염 증상이 없어도 무증상박테리아요가 있으면 나중에 신우신염 등을 일으키고 조기 진통도 올 수 있어 조산아 출생의 위험이 있습니다. | |
자궁경부암 검사 | 자궁경부암 검사도 임신 시에 꼭 받아야 합니다. | |
임질 검사 | 자궁경부의 배양 검사를 함으로써 임질의 여부, B군 연쇄상구균(나중에 신생아 사망도 초래할 수 있는 균)을 미리 알아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 |
클라미디아 검사 | 내진 시 하는 검사로 엄마의 자궁경부에 클라미디아균이 있으면 불임도 초래할 수 있고, 아기 출생 시 눈병, 폐렴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
초음파 검사 | 초음파를 이용하여 정상 임신을 진단하고 포상기태, 자궁 외 임신 등 병적 임신을 조기에 발견하며 자궁과 난소의 이상도 진단합니다. | |
11~13주 | 융모막 검사 | 35세 이상의 고령의 산모이거나 기형아 검사 이상 등으로 염색체 진단이 필요한 경우 시행합니다. |
10~20주 | 치과 검진 | 임신 중 치주질환이 심각한 경우 조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치아에 이상이 있을 때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
15~18주 | 기형아 검사(Triple Test) | 산모의 혈액으로 다운 증후군, 신경관 결손 등을 선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세 가지 종류의 검사를 합니다. |
16~20주 | 양수 검사 | 35세 이상의 고령의 산모이거나 다른 유전질환의 위험이 있거나, 기형아 검사 및 초음파 소견이 정상이 아닌 경우 염색체 이상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20~28주 | 초음파 검사 | 태아의 성장 발육 정도, 태아의 크기, 위치 및 태반의 위치, 모양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기형은 물론 태아의 기형 발견이 가장 용이한 시기입니다. |
24~28주 | 임신성 당뇨 검사 | 임신부가 당뇨병이 있을 시 감염, 자간전증, 양수 과다증, 난산의 위험이 높고, 신생아도 기형, 당뇨 및 사망률이 높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
일반 혈액 검사 | 임신 중기에 임신부의 빈혈이 있는가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 |
26~28주 | 3D 입체 초음파 | 필수 검사는 아니지만 태아의 손가락, 발가락 및 얼굴 모양 등 외형상 기형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한 검사로 좋은 기념 사진이 될 수도 있습니다. |
34주 이후 | 태아 안녕 검사(NST 검사) | 태아의 안녕 상태와 자궁 수축을 알 수 있는 검사로서 임신성 당뇨, 임신중독증 등의 합병증이 동반된 임신과 조기 진통이 의심되는 경우 시행합니다. |
임신 말기(38주경) | 일반 혈액 검사 | 임신 말기에 임신부의 빈혈 등의 변화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
간기능 검사, 심전도 검사, 혈액 응고 검사 | 분만 시 수술 등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산모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전 검사 체크리스트 – 건강한 태아와 엄마를 위한 점검 사항 (차병원 임신정보) |
임신부 산전검사 재개
- 재개일: 2022년 6월 13일 (월) 부터~
- 검사내용: 1) 임신초기검사 (임신 확인 후 ~ 16주 이내)
2) 임신성 당뇨검사 (24주 ~ 28주) & 빈혈검사 포함 - 운영일시: 주중 (휴일 제외)
- 운영방법: 별도의 예약 없이 보건소 1층 모성건강센터로 직접 방문
- 임신초기검사 시간: 오전 9시~11시, 오후 1시~4시
- 임신성 당뇨검사 시간: 오전 9시~10시 30분, 오후 1시~4시
(당검사는 시약 복용 1시간 이후 검사이므로 꼭 시간 준수, 4시간 공복 후 방문)- 금요일 및 다음날 휴일인 경우 오전만 가능하며
- 검사대상: 주민등록상 중랑구 주소지 임산부 (주소지 확인 자료 지참)
- 준비서류: 산모 주민등록증, 임신확인서 또는 임산부 수첩
- 관련문의: 중랑구 보건소 건강증진과 (☎ 02-2094-0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