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액공제2 2022년 21년 연말정산 월세공제 전세공제 담보대출 주택 공제 주택자금 세액공제 1주택자 소득세율 계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말정산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주택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 공제의 종류에는 먼저 임대자와 세입자 측면에서 구분을 할 수 있으며, 세입자에서는 월세인가 전세인가에 따라 구분을 한번 더 할 수 있습니다. 임대자 측면에서는 1주택자 기준으로 말씀드릴 테니까 이점 참고해주세요! 참고로 1주택자일때 조건들이 조금 있기는 하지만 소득공제 측면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세 관점에서 봤을 때 월세를 사는 게 이득이 되는지, 전세를 사는 게 이득이 되는지, 주택을 매수하는 게 이득이 되는지 작지만 비용을 따져볼 필요도 있다. 각 항목별 공제 대상이 되는지는 국세상담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국세상담센터 국세상담센터 call.nts.go.kr 세입자, 전세 세입자로 전세를 살 .. 부동산(아파트) 2022. 1. 7. 10월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연말 정산) 추천, 수익률 공개 10월 연금저축펀드 마감 (21년 10월 31일 기준으로 캡쳐한 수익 내역) 연금저축펀드를 드는 이유? 연금저축펀드의 장단점을 논하라고 한다면, 장점으로는 3가지 단점으로는 1가지를 말할 수 있다. 장점 1. 세액 공제 혜택 >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연말 정산을 할때 환급 받는 방법 중 소득 공제와 세액 공제가 있다. 간단하게 보면, 소득 공제는 내가 낼 세금에서 차감을 해주는 것이고 세액 공제는 순전히 돌려 받을 수 있는 금액이라 생각하면 된다. 예를들어 내가 낼 세금이 100만원인데, 소득공제가 200만원일 경우 차액인 100만원을 돌려 받는 것이 아니라 0원이 되는 반면 세액 공제는 100만원을 돌려 받는다. 과세표준 세율에 따라 환급 받는 금액이 달라진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지만 나는 이.. 투자일지 2021. 11. 25. 이전 1 다음 스폰서 링크 반응형